국내뉴스
(파주=연합뉴스) 심민규 기자 = 6·25 전쟁에 참전했다가 사망한 북한군 유해들을 모아 조성한 경기 파주시 적성면의 '북한군 묘지'.
![[르포] 거미줄과 벌레, 적막만이 감싼 파주 북한군 묘지](https://static.wixstatic.com/media/708913_09c2c32c5dff4a158bbe245899bef46d~mv2.png/v1/fill/w_492,h_360,al_c,q_85,enc_avif,quality_auto/708913_09c2c32c5dff4a158bbe245899bef46d~mv2.png)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27일 오전 북한군 묘지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긴 데다 궂은 비까지 내려 스산한 분위기가 더했다.
묘지 주변을 둘러싼 나무엔 거미줄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어 주변을 걷기만 해도 몸에 달라붙었고, 진입로 입구의 안내판 글씨는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누렇게 변색했다. 심지어 곳곳이 갈라지기까지 했다.
유해의 주인을 알 수 없어 '무명인'이라고 적힌 수백개의 묘비에는 벌레들이 들끓었다.
다행히 추석을 앞두고 국방부가 위탁한 조경업체가 제초 작업을 완료해 묘역에 잡초는 우거지지 않았다.
육군 관계자는 "예전에는 인근 군부대에서 직접 조경과 제초 작업을 하는 등 관리했지만 최근에는 조경업체에 위탁해서 한 달에 두차례 묘역을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르포] 거미줄과 벌레, 적막만이 감싼 파주 북한군 묘지](https://static.wixstatic.com/media/708913_a48287790147429591f03de34aab2455~mv2.png/v1/fill/w_502,h_372,al_c,q_85,enc_avif,quality_auto/708913_a48287790147429591f03de34aab2455~mv2.png)
이 묘지는 사망한 적군이라도 매장해 분묘로 존중해야 한다는 제네바 협약과 인도주의 정신에 따라 1996년 7월 조성됐다.
전국에 흩어져 있던 북한군과 중국군의 유해를 한데 모은 것이다.
처음에는 '북한군·중국군 묘지'라는 명칭이었지만 2014년 중국군 유해가 모두 중국으로 송환한 뒤 '북한군 묘지'로 바뀌었다.
군에 따르면 중국군이 안장돼 있을 때는 중국인 관광객들의 방문이 종종 있었지만, 중국군 송환 이후에는 이마저도 끊겨 아무도 찾지 않는 '계륵 묘역'이 되었다.
현재 이곳에는 6·25 전쟁 때 죽은 북한군과 1·21 청와대 습격 사건 때 사살된 공작원, KAL 858기 폭파범, 남해안 침투 공작원 등 800여구의 유해가 묻혀 있다.
묘역은 6천99㎡, 축구장 2개 규모이다. 계급과 이름이 적힌 묘비는 20여개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모두 '무명인'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르포] 거미줄과 벌레, 적막만이 감싼 파주 북한군 묘지](https://static.wixstatic.com/media/708913_a6197abf85cc4ac2b595d4527b7281a3~mv2.png/v1/fill/w_484,h_374,al_c,q_85,enc_avif,quality_auto/708913_a6197abf85cc4ac2b595d4527b7281a3~mv2.png)
이 묘역을 평화공원으로 조성하는 작업이 한때 추진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경기도지사였던 2019년 3월 경기도가 이 묘지를 평화공원으로 만들기로 하고 국방부로부터 소유권을 넘겨받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국방부에는 상응하는 토지를 넘겨주는 내용이다.
하지만 군 내부 반발과 법규 해석 논란 등에 막혀 이렇다 할 진척을 보이지 못하다가 올해 들어 없던 일이 됐다.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을 고려하면 북한에 유해를 인도하기 위한 작업은 가능성이 극히 낮아 보이는 만큼, 당분간 북한군 묘지는 골칫거리로 남을 전망이다.
국내뉴스
#슬롯#슬롯사이트#카지노게임#홀덤사이트#카지노사이트#바카라사이트#바카라카지노#인터넷카지노#빅투카지노#완내스#온카지노#온슬롯#국내뉴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