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애플 신제품인 아이폰15 시리즈가 공개된 지 한달이 채 되지 않았지만 기기와 성능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유명 IT 유튜버 ‘애플트랙’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아이폰15 프로와 아이폰14 프로 낙하 실험 비교 영상을 올렸다. 영상에는 티타늄 소재인 아이폰15 프로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인 아이폰14 프로를 양손에 쥔 채 두 스마트폰을 스크린 기준 앞면, 뒷면, 옆면 등 다양한 각도로 떨어뜨리는 모습이 담겨 있다.
애플은 아이폰15 프로, 프로맥스 모델에서 ‘티타늄’ 소재를 도입해 역대 프로 맥스 모델 중 가장 가볍다고 강조했다. 티타늄은 우주선 제작에 사용되는 합금으로 강철보다 단단하면서도 가볍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손, 가슴, 얼굴 높이에서 핸드폰을 떨어뜨릴 때는 두 제품 모두 이상이 없었지만 실험을 거듭할수록 아이폰15 프로 모서리가 먼저 깨지기 시작했다.
특히 15피트(4.5m) 높이에서 두 기기를 나란히 떨어뜨리자 아이폰15 프로는 액정 하단부가 완전히 고장났다. 반면 아이폰14 프로는 외관상 큰 이상이 없어 보였다. 이후 20피트(6.1m) 높이에서 떨어뜨리자 아이폰15 프로는 아예 카메라 부분이 본체와 분리되며 먹통이 됐으며 아이폰14 프로는 비교적 준수한 상태를 보였다.
유튜버는 “아이폰15프로는 완전히 두 동강이가 난 반면 아이폰14프로는 여전히 작동한다”고 실험 후기를 밝혔다.
앞서 아이폰15 프로 맥스는 발열과 변색 논란에도 휩싸여 홍역을 치렀다. 중국의 IT 전문 콘텐츠 크리에이터인 ‘Geekerwan’은 아이폰15의 프리미엄 모델을 테스트한 결과 발열 문제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실험 결과 아이폰15 프로는 300니트 밝기와 25°C 실온에서 고사양 게임을 실행했을 때 30분 만에 제품 온도가 최대 48°C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스마트폰 발열은 기기 화재나 오작동뿐 아니라 칩의 성능 저하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문제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며 발열 상태가 지속될 경우 스마트폰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아이폰15 프로’ 시리즈의 변색 논란도 제기됐다. 애플 전문 매체 맥루머스(MacRumors)는 최근 온라인상에서 불거진 아이폰15 프로 시리즈 모델의 변색 의혹에 대해 “애플이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입장을 내보였다”고 보도했다.
계속되는 논란 속, 업계에서는 ‘아이폰15’ 시리즈의 국내 흥행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애플은 10월 13일 아이폰15·아이폰15 플러스·프로·프로맥스 신제품 4종을 국내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이폰15가 공개된 이후 가격, 디자인 등 여러가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애플 충성고객들의 수요가 흔들릴지는 미지수”라며 “이미 예전부터 아이폰을 구매할 사람들은 어떻게든 제품을 샀듯이 이번 논란 역시 시장에서 민감하게 받아들일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국내뉴스
#슬롯#슬롯사이트#카지노게임#홀덤사이트#카지노사이트#바카라사이트#바카라카지노#인터넷카지노#빅투카지노#완내스#온카지노#온슬롯#국내뉴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