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데일리안 = 고정삼 기자]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정부가 PF 관련 지원책을 쏟아내며 부실을 막고 있지만 시장 환경이 변하지 않는 만큼 땜질식 처방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부동산 PF를 지목하며 우려를 드러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가 증권사·캐피탈·저축은행·부동산신탁사 등 제2금융권의 부동산 PF 사업장 구성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 비중은 1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아파트와 주상복합·연립주택 등 기타 주거시설은 각각 15.7%, 15.6%를 기록했다. 특히 상가·오피스텔·지식산업센터 등 투자형 부동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업시설 등이 PF 대출 전체 익스포저(위험 노출액)의 53.0%를 차지했다.
권신애 나신평 금융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이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나타난 아파트 시장 수요 회복세가 제2금융권 부동산 PF 익스포저의 자산건전성과 최종적인 회수 가능성을 개선하는 효과에는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아직까지 투자용 부동산 시장의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이를 고려할 때 최근 일부 부동산 시장의 수요 반등이 브릿지론(사업 인가 전 대출)의 자산건전성 등을 개선하는 효과 역시 매우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현재까지는 정부가 각종 부동산 PF 지원책을 쏟아내며 부실화를 막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금융권과 PF 대주단 협약을 통해 전국 PF 사업장에 대한 채권 재조정을 추진했다. 또 PF 대출 보증 확대, 정상화 펀드 등 21조원 규모의 자금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PF 부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끊이질 않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23일 국정감사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경우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부동산 PF를 꼽기도 했다. 이 총재는 한은 내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주택가격 하락률이 고점 대비 30%까지는 별문제가 없다"면서도 "그 이상으로 떨어지면 금융기관이나 PF에 여러 어려움이 나타난다"고 우려했다.
특히 내년에는 PF 부실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금융당국의 지원책이 PF 부실화를 지연시키고 있을 뿐이란 지적에 따른다. 고금리 환경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 탓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브릿지론을 대거 취급한 2금융권이 유독 취약한 실정이다. 본PF로의 전환이 지연되면서 사업성은 떨어지고 자산건전성도 계속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강철구 한국신용평가 본부장은 지난 20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개최한 연례 세미나에서 "부동산 PF에서 부실화가 나타나지 않는 건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따라 웬만한 사업장에서 차환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게 내년에도 지속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브릿지론에서 본PF로 넘어가는 게 1.5~2년인데, 캐피탈·증권·저축은행 브릿지론의 최초 대출일 대비 경과를 보면 올해 말 정도에 2년이 된다"며 "본PF로 넘어가지 못할 경우 사업성이 계속 떨어지게 되는 만큼, 올해보다 내년에 PF 부실화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국내뉴스
#슬롯#슬롯사이트#카지노게임#홀덤사이트#카지노사이트#바카라사이트#바카라카지노#인터넷카지노#빅투카지노#완내스#온카지노#온슬롯#국내뉴스
Comments